ETF(Exchange Traded Fund, 상장지수펀드)는 개별 종목이 아닌 지수를 추종하는 금융상품으로,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특히 KODEX 200과 TIGER 200은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로, 국내 ETF 시장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상품 중 하나입니다.
그렇다면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이 두 ETF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? 운용사, 보수, 거래량, 분배금 정책 등의 차이를 분석하고, 투자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.



1. KODEX 200과 TIGER 200 개요
1-1. KODEX 200 개요
- 운용사: 삼성자산운용
- 설정일: 2002년 10월 14일
- 추종 지수: 코스피 200
- 총보수: 연 0.015%
- 기준 가격(2025년 기준): 약 40,000원대
- 분배금 지급 여부: 있음 (연 2회)
- 일평균 거래량: 약 1000만 주 이상
📌 특징
KODEX 200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ETF 중 하나로, 코스피 200 지수를 대표하는 ETF입니다. 높은 거래량과 유동성 덕분에 스프레드(매수·매도 가격 차이)가 작아 단기 트레이딩에도 적합합니다.
1-2. TIGER 200 개요
- 운용사: 미래에셋자산운용
- 설정일: 2010년 10월 25일
- 추종 지수: 코스피 200
- 총보수: 연 0.015%
- 기준 가격(2025년 기준): 약 40,000원대
- 분배금 지급 여부: 있음 (연 2회)
- 일평균 거래량: 약 300만~500만 주
📌 특징
TIGER 200은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, KODEX 200과 마찬가지로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합니다. 상대적으로 거래량이 KODEX 200보다 적지만, 보수 및 분배금 정책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.
2. KODEX 200 vs TIGER 200 비교 분석
2-1. 운용사 신뢰도
ETF운용사설정일운용자산(AUM)
KODEX 200 | 삼성자산운용 | 2002년 10월 | 약 10조 원 |
TIGER 200 | 미래에셋자산운용 | 2010년 10월 | 약 5조 원 |
✅ 삼성자산운용의 KODEX 200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ETF이며, 운용자산도 더 큽니다. 운용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투자자라면 KODEX 200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
2-2. 총보수(운용 비용)
ETF총보수(연)
KODEX 200 | 0.015% |
TIGER 200 | 0.015% |
✅ 두 ETF의 운용 보수는 동일하기 때문에, 비용 면에서 차이는 없습니다.
2-3. 거래량 및 유동성
ETF일평균 거래량(주)유동성
KODEX 200 | 약 1000만 주 이상 | 높음 |
TIGER 200 | 약 300만~500만 주 | 보통 |
✅ KODEX 200이 거래량이 많아 유동성이 더 높습니다.
즉, 매매할 때 스프레드(매수·매도 가격 차이)가 적어 단기 투자에 더 적합합니다.
2-4. 분배금(배당금) 정책
ETF분배금 지급 여부지급 횟수
KODEX 200 | 있음 | 연 2회 |
TIGER 200 | 있음 | 연 2회 |
✅ 두 ETF 모두 연 2회 분배금을 지급하므로, 배당 투자 관점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.

3. 투자 전략 – KODEX 200 vs TIGER 200, 어떤 ETF를 선택할까?
3-1. 단기 투자자라면? → KODEX 200 추천
- 유동성이 높아 매수·매도 시 스프레드(가격 차이)가 적음
- 거래량이 많아 빠른 체결이 가능
- 데이트레이딩(단기 매매) 및 트레이딩 전략에 적합
3-2. 장기 투자자라면? → 둘 다 가능
- 두 ETF 모두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므로, 장기적인 성과 차이는 거의 없음
- 보수(수수료)가 동일하여 비용 부담 차이 없음
- 장기 보유 시 분배금을 받을 수 있음
✅ 결론: 장기 투자 시 두 ETF 간 차이는 미미하므로, 본인이 사용하기 편한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됩니다.
3-3. 배당(분배금) 투자자라면? → 큰 차이 없음
- 두 ETF 모두 연 2회 분배금 지급
- 다만, 과거 분배금 지급 내역을 비교해 보고 선택할 수도 있음



4. 결론 – KODEX 200 vs TIGER 200,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할까?
구분KODEX 200TIGER 200
운용사 | 삼성자산운용 | 미래에셋자산운용 |
설정일 | 2002년 | 2010년 |
운용자산(AUM) | 약 10조 원 | 약 5조 원 |
총보수 | 0.015% | 0.015% |
일평균 거래량 | 약 1000만 주 이상 | 약 300만~500만 주 |
분배금 | 연 2회 | 연 2회 |
🔹 KODEX 200이 더 적합한 경우
- 거래량이 많아 단기 매매(트레이딩)에 유리
- 유동성이 높아 빠른 매매가 필요할 때
🔹 TIGER 200이 더 적합한 경우
- KODEX 200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, 미래에셋 운용사를 선호하는 경우
- 특정 증권사에서 TIGER 200 거래 시 혜택이 있을 경우
✅ 결론
단기 트레이딩을 한다면 KODEX 200이 더 유리하며, 장기 투자자는 둘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무방합니다.
📌 추천 전략
- 단기 투자: KODEX 200 (거래량 많음)
- 장기 투자: KODEX 200 또는 TIGER 200
- 배당 투자: KODEX 200 또는 TIGER 200 (큰 차이 없음)
ETF 선택 시 본인의 투자 스타일과 전략을 고려하여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! 🚀